이번에는 URI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.
평소 우리가 사용하던 URL은 이 URI의 하위 개념이다.
어떤 느낌인지 자세히 알아보자.
URI (Uniform Resource Identifier, 통합 자원 식별자)
URI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식별자이다.
위치나 이름으로 자원에 접근할 수 있으며, 인터넷에서의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항상 IP와 함께 있는 정보이다.
이런 URI는 아래 두 개념이 존재한다.
URL (Uniform Resource Locator, 자원의 위치를 지정)
우리가 가장 흔히 들어보던 URL이다.
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요소이다.
문법도 우리가 가장 많이 봐왔던 주소랑 비슷하다.
Protocol://[userinfo@]host[:port][/path][?query][#fragment] *** ex) https://www.google.com:443/search?q=hello
Protocol - http, tcp, udp 같은 프로토콜
userinfo - 사용자 정보,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.
host - www.google.com와 같은 도메인명이나 IP주소를 직접 입력
port - 접속 포트 번호 443, 8080 같은 요소
path - 리소스 경로, 자원이 저장되어 있는 곳
query - 쿼리문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요소
fragment - 전송되는 정보는 아님내부 북마크 등에 이용됨
URN (Uniform Resource Name, 자원의 이름을 지정)
다음으로는 URN이다.
자원에 대한 이름을 나타낸다.
보편화 된 사용방법은 없어서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.
그렇기에 통상적으로 URL과 URI는 같은 의미로 쓰인다.
위 내용을 통해 URL에 여러가지 정보들을 담아 통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도록 하자.
참고 -
https://velog.io/@algoorgoal/URI-URL%EA%B3%BC-URN%EC%9D%98-%EC%B0%A8%EC%9D%B4
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http-%EC%9B%B9-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1%AC